KBI 스왑(Swap) 하기
본 메뉴얼은 KLAYbi Protocol (KBI)를 민팅(Minting)을 통한 획득 보다 빠른 방법인 KLAY를 중앙화 거래소 에서 구매하여 DEX(Decentralized Exchange)에서 KBI로 스왑(Swap)하는 루트에 대한 설명과 그 방법을 설명한 메뉴얼입니다.
스왑 이란?
스왑이란 교환한다(exchange)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즉, 스왑거래란 두 당사자가 각기 지니고 있는 서로 다른 자금흐름을 서로 교환하기로 계약하는 거래입니다.
코인 세계에서는 ‘스왑’은 영단어 뜻처럼 ‘교환’을 의미한다. 바로 ‘코인과 코인 사이의 교환’이다. 암호화폐 지갑에 보유한 코인을 개인과 개인(P2P) 거래 형태로 바꾸는 행위가 스왑이다. 코인을 ‘매매’하는 것이 아니라 ‘교환’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 ‘탈중앙화 거래소(DEX)’다.
업비트나 빗썸 같은 거래소는 말하자면 ‘중앙화 거래소’다. 거래소는 코인을 사려는 구매자와 코인을 매도하려는 판매자 사이에서 중개자 역할을 한다. 서로의 주문을 거래소가 연결함으로써 매매가 이뤄진다. 매수자 입찰 가격이 매도자가 내건 가격보다 높거나 같으면 거래가 체결되는 방식이다.
DEX는 다르다. 코인 교환은 ‘유동성 풀’에서 이뤄진다. 누군가 유동성 풀에 예치해놓은 코인을, 보유하고 있던 코인과 맞바꾸는 방식이다. 스왑 시 가격은 스마트콘트랙트를 기반으로 한 알고리즘에 의해 결정된다.
탈중앙화 거래소에서는 주식이나 코인 투자자에게 익숙한 ‘호가창’이나 길게 늘어선 ‘매수벽’, 심지어 ‘차트’조차 찾아볼 수 없다. 거래소 화면도 굉장히 심플하다. 예를 들어 A코인을 B코인으로 바꾼다고 한다면 ① 본인이 교환하고자 하는 A코인 개수 ② 여기에 따라 받을 수 있는 B코인 개수 정도가 화면의 전부다.

Last updated